서울성모병원, 응급처치-저체온요법 이용 생존률 2.5%->23.2%

심근 경색과 뇌졸중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병원 외 심정지 환자 5명 중 1명은 생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장 박규남 교수팀은 19개월(2009년 3월-2010년 9월)동안 병원 외 심정지로 내원한 1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이 돌아온 혼수환자에게 저체온요법을 포함한 적극적인 ‘심정지 후 집중치료’를 한 결과 38명(23.2%)이 생존 퇴원했다고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08년 우리나라에서 병원 외 심정지 환자는 약 2만명 발생해 대부분 숨지고 이 중 약 500명(2.5%)만이 생존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 교수팀의 치료 결과는 국내 전체 생존퇴원률 2.5%보다 약 9배 높고, 서울지역 생존퇴원률 4.9%보다 4.7배 높은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전체 생존퇴원률 4.4%보다 5.3배나 높다.

(미국 : 2006. 5~2007. 4 : The Resuscitation Outcomes Consortium(ROC))
(한국 : 2008년 의무기록 DATA : 질병관리본부 심정지 의무기록조사 자료 수집 및 등록 관리(조사
기간 : 2009. 4~2010. 6)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면 40~50%는 자발순환이 돌아오지만 심정지 후 증후군 때문에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심정지 후 증후군은 ‘심정지 후 뇌손상’, ‘심근기능 부전’ 등 독특하고 복잡한 상태로 저체온요법 등 소생 후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면, 극적으로 사망률을 낮춰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저체온요법은 심장이 멈춘 후 다시 자발순환이 회복된 혼수환자들의 체온을 32-34도로 낮춰 24시간 동안 유지한 후 서서히 재가온하는 치료다.
 
심장마비로 뇌에 산소공급을 받지 못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후 심장 활동이 회복된 환자에 2차적인 뇌손상을 줄여 심정지 후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증명된 유일한 치료법이다.
 
박규남 응급의료센터장은 “미국 전체의 심정지 환자 생존률이 4.4%인데 비해 심폐소생술 교육, 응급의료체계 질 관리 및 병원에서의 저체온 요법을 시(市)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시애틀은 심정지 환자 생존률이 16.3%로 높다”고 말했다.
 
또 “심정지 발생시 가족이나 주민 등 목격자의 적극적인 기본 심폐소생술과 구급대원들의 제세동 및 신속한 이송, 저체온요법을 포함한 집중 치료를 통해 환자의 생존률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규남 교수팀은 지난 1997년 국내 최초로 저체온요법을 시행한 바 있으며, 오는 17일 오후 6시 ‘소중한 생명, 다시 찾은 삶’이란 이름으로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저체온요법으로 새로운 생명을 얻은 환자들 및 그 가족들과 함께 생존을 기념하는 자리도 가질 예정이다.
 
18일과 19일에는 심정지 후 치료에 대한 심포지엄(Post-Cardiac Arrest Care Symposium)과 저체온 요법에 대한 워크숍(Therapeutic Hypothermia(TH) Course for Hospital Providers)을 진행한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