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성훈 교수

▲ 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성훈 교수.
바야흐로 우수의 계절 가을이 다가왔다. 이맘때쯤이면 왠지 모르게 울적한 기분에 사로잡히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풍부한 감수성은 삶의 윤활유가 되기도 하지만, 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빠져 있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우울증, 흔하지만 치명적일 수도…

우울증은, 전 세계 남성의 5~12%, 여성의 10~25%가 평생 한 번은 경험하는 가장 흔한 병 중 하나이다. 그러나 흔하다고 해서 곧 그것이 치명적이지 않다는 말은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1세기 인류를 가장 괴롭힐 질병 중 하나로 우울증을 지적한다.
 
우울증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우울하고 공허감에 시달리며 세상만사가 귀찮고 재미가 없어지며, 항시 피로하고 생각도 행동도 느려진 듯한 느낌을 받는다. 물론 이런 감정은 흔히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대개는 우울함이 정상 범위를 넘어서도 치료하지 않고 가볍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런 증상들이 2주일 이상 내내 지속된다면 우울증일 가능성이 크다. 요즘 같은 가을이면 실제로 이런 병적인 우울증 환자들도 더 늘어난다.

식욕감퇴, 집중력과 기억력의 감퇴, 성욕의 감퇴, 불면증 등의 증상이 잇따라 나타나고 때로는 그 반대의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관절통과 두통, 위경련 등의 신체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극단적으로 세상과의 소통을 차단하고 약물이나 알콜중독에 빠지는 경우도 많으며 결국 자살로 이어지기도 한다.

마음의 병 아니라 생물학적 질환

우울증은 일종의 뇌질환이며 결코 마음이 약하거나 어리석어서 생긴 병이 아니다. 물론 심리적인 요인도 작용을 하지만 유전적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상실감을 경험했을 때, 술을 많이 마시거나 특정 약물을 복용했을 때, 그리고 갑상선질환이나 췌장암등 특정한 신체질환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결국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우울증 유발에 관련되어 있는 것이다. 우울증 환자들의 뇌에서는 생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인간의 성행동, 수면 그리고 기분 등이 조절되는데, 이 물질은 여러 가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분비가 되며 그중 햇빛도 주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일조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가을철에 계절성 우울증 환자가 많아지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계절성 우울증 환자들은 1년을 주기로 가을이 되면 우울증이 시작돼 겨울을 거치면서 악화됐다가 따뜻한 봄이 되면 정상적인 기분으로 돌아온다. 우울한 정서를 보이고 수면과다와 무기력증에 빠진다. 단 음식이나 탄수화물을 많이 찾게 되고 불필요하게 과식해 체중이 늘어난다.

일반적인 우울증도 멜라토닌과 관련은 있지만, 계절 변화와는 무관하고 수면장애, 식욕저하, 체중감소가 나타나는 등 증상적 특징이 다르다.

이 같은 계절성 우울증은 젊은 사람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흔하며, 여성이 전체 환자의 60~90%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또 지구상 위도가 높고 일조량이 적은 북반구나 사철 날씨가 좋지 않은 미국 시카고에는 우울증 환자가 유난히 많다고 한다.

광선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계절성 우울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람들은 이를 두려워하거나 회피하지 말고 자신감을 갖고 치료에 적극 임하라는 것이 정신과 전문의들의 충고다.

창가에서 휴식을 취하는 등 햇빛을 자주 접하는 것이 좋고, 점심시간을 이용한 가벼운 산책도 도움이 된다. 조깅, 수영, 자전거타기 등의 유산소 운동과 더운 목욕, 산책, 공연관람 등 뭔가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활동들이 필요하다. 또 달거나 카페인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유지해야 한다.

우울증 환자는 실내 조명을 밝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정신적인 고립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되도록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이고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게 도움을 청해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법으로도 극복되지 않으면 전문의의 상담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찾아주는 약물 치료가 필수적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우울증 환자들이 약물치료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다른 항정신성 약품들과는 달리 항우울제는 습관성이나 정신이 멍해지는 증상도 거의 없다. 약물치료는 15일 이상 지속해서 투약을 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효과가 빨리 나타나지 않는다고 섣불리 약을 중단하면 치료가 더 어려워진다. 또한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의사의 중단지시가 있을 때까지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외에 광선 요법이 계절성 우울증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약을 복용할 수 없을 정도로 증세가 심각할 때에는 전기충격요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우울증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상시에 받는 스트레스를 바로바로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Tip] 계절성 우울증을 이기는 12가지 지혜
․머릿속에 있는 계획표를 찢어버려라. 
․주변 사람들에 대한 좋은 기억을 떠올려라.
․걸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자세를 바로 하고, 고개를 들어라.
․집 밖으로 나가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을 하며 햇빛을 즐겨라.
․되도록 창가 쪽에 앉아 창 밖을 자주 바라보고 심호흡을 해라.
․과일이나 야채, 해조류 등을 많이 먹고 물을 많이 마셔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해 ‘이 정도면 그리 나쁘지 않아’라고 중얼거려라.
․유머있는 생활을 하라.
․나 자신에게 관대하라.
․화가 날 때는 춤을 춘다거나, 고함 치고, 허공에 발길질을 해서 풀어버려라.
․좋은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보는 등 문화생활을 즐겨라.
․요리나 청소 등 부지런히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일들을 찾아라.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