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가기 싫어요…분리불안, 스트레스, 학습장애 의심

학기가 시작하는 3월이 다가왔다. 부모와 아이 모두 새로운 환경에서 시작될 학교생활을 준비해야 할 시기지만 규칙적이고 긴장된 생활을 해야 하는 학교에 가고 싶어 하지 않는 아이들도 있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신입생이라면 유치원 생활을 경험했다고 해도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큰 변화고, 시간, 공간적으로 더 많은 규율과 규칙적인 생활을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정신과 윤수정 교수는 “초등학교에 입학한 아이나 신학기를 시작하는 아이가 평소와는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며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아이를 방치한다면 증세(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자녀를 둔 부모라면 한번쯤 눈 여겨 보아야 할, 아이의 행동 유형별 대처법을 알아본다.

◆아이가 ‘분리 불안’ 증세를 보인다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불안을 느끼지만,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극복된다.

그러나 평소 익숙지 않았던 학교에서 부모와 떨어져 생활한다는 것은 아이에게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 일부 아이들은 ‘분리 불안(separation anxiety)’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분리 불안을 느끼는 아이들은 말 그대로 심할 정도로 부모와 떨어져 있기를 싫어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거나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두통, 복통 등의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한다. 또 잠을 잘 못 자고 꿈을 자주 꾸며 식욕이 이전과 달리 현저하게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런 상태를 보인다면 반드시 소아 청소년 정신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부모들이 직접 할 수 있는 분리 불안 예방법은 입학하기 전에 아이가 다닐 학교를 미리 몇 차례 방문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등교 시간에 맞춰 아이와 함께 학교에 가면서 학교는 재미있고 새로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흥미로운 곳이라는 점을 스스로 느끼도록 대화를 나눠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또 아이가 다닐 학교의 교실이나 운동장 등을 찾아 아이 스스로가 학교에 익숙하도록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가 학교에 가는 것에 대해 불안을 표현한다고 해서 등교하지 않고 집에 있도록 허락한다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심한 스트레스 느낀다면
흔히 스트레스는 어른에게만 생긴다고 여기기 쉽지만 아이들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아이는 어떤 상황이 익숙하지 않거나 두렵거나 고통스러울 때, 또는 자신이 없거나 싫은 일을 해야 할 때 스트레스를 느낀다.

예를 들면 새로운 환경, 친구의 따돌림, 부모의 말다툼 등 수많은 상황이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것이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과외 공부나 아무 할 일 없는 무료함도 모두 참기 어려운 스트레스이다.

아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비와 해결이 서툴 뿐 아니라 스트레스 증상을 표현하는 것도 어른들과 다르다. 특히 스트레스를 심하게 느끼는 아이들은 학교에 가는 것을 거부하며, 그 이유에 대해 그냥 짜증만 내고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이가 특별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고 등교를 거부한다면 부모들은 아이가 혹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지나친 스트레스가 자녀의 건강, 행동, 생각, 기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나 않는지 주의해서 관찰하고, 아이의 눈높이에서 관심과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어줘야 한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화목한 가정, 자신감을 길러주는 학교, 충분한 수면, 적절한 영양 섭취, 그리고 적당한 휴식과 운동이다.

◆학습장애나 과잉 행동장애를 겪는다면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이라면 아이가 학습에 문제가 없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가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수업을 받아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가 혹시라도 지능이 떨어지거나 숨겨져 있던 정서적인 문제로 인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부를 못하는 것만 가지고 무조건 학습장애라고 생각할 필요는 전혀 없다.

학습장애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운동 및 언어 발달의 지연, 인지 기능 및 개념 형성 발달의 저하 여부 등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세심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치료 방법은 아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지만 장애가 되는 학습을 직접 교습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취약한 부분을 아이에게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짜서 반복적 훈련과 연습을 시키는 것이다.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연습도 효과적이다.

또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과잉 된 행동을 보이고 충동적이며,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하다. 수업 중 제자리에 앉아있지 못하고 왔다 갔다 하거나, 물을 먹으러 또는 화장실에 자꾸 간다고 하거나, 잘 떠들고, 잘 싸우는 경우가 이 질환의 전형적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유치원과는 달리 초등학교 생활은 좀 더 규율이 있기 때문에 주의력이 떨어지거나 행동이 많은 아이들은 수업 시간에 어느 정도 드러난다.

이런 아이들에겐 밥 먹고, 씻고, 학교에 가고, 잠자리에 드는 시간을 매일매일 일정하게 지키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며, 가급적이면 백화점처럼 자극이 많은 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아이들은 자신 뿐 아니라 가족 전체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때로는 자신의 행동이 문제가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일부러 좋아지려는 어떤 노력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질환에 의한 것이므로 무조건 꾸짖거나 야단을 쳐서 교정하려고 하면 안된다.

윤수정 교수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장애는 치료를 받아야 할 하나의 질환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부모로서 아동의 질환에 대해 잘 이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며 부모, 소아 청소년 정신과 전문의, 담당 교사 등이 함께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상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