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의 파죽지세가 ‘압축성장’으로 이어진 가운데 대한민국 사회는 과잉경쟁사회가 됐고, 그로 인해 1%의 위너(winner)의 웃음 뒤에서 루저(loser)가 된 이들은 분노와 피로에 휩싸여 분노사회, 또 피로사회가 됐다. 좌절한 젊은 세대는 금수저니 흙수저니 해가며 태생적 계층 한계에 무기력해지면서 무한 포기를 하고 있다. 결혼 출산 연애 취업 희망 등을 속속 내다버리면서 3포, 5포, 7포를 지나 N포세대가 되어가고 있다.

아니나 다를까 몸이 온전할 리 없다. 이 과정에서 마음의 병이 도지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 4명 가운데 1명은 정신질환을 앓은 적이 있으며 이는 높은 자살률로 연결돼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급기야 정부가 나섰다. 정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24.7%는 불안, 기분 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정신병적 장애 등 정신질환을 평생 한 번 이상 앓은 적(정신질환 평생유병률)이 있었다.

정신질환은 자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27.3명이나 된다.

정부가 발표한 정신건강 종합대책에 따르면 내년부터 정신건강의학과(정신과) 병·의원이 아닌 동네의 내과, 가정의학과 등 1차 의료기관에서도 우울이나 불안 등 정신과적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진단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정부는 동네의원에 관련 교육을 하는 한편 우울증 등에 대한 선별 검사 도구를 개발해 보급하고 진료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자살률을 인구 10만명당 20명까지 끌어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신건강 문제 발견 후 치료까지 걸리는 기간을 2011년 기준 84주에서 50주로 단축하고, 중증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시설 정원을 지금보다 10% 늘릴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인생의 굴곡진 데에서 혹여 마음의 병을 얻게 될 경우 조기에 이를 발견하고 신속하게 회복해 원래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전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누구나 생을 살면서 코너에 몰릴 수 있다. 피하지도, 극복하지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 마음의 병은 찾아온다. 마음을 잃게 되면 행복은 사라진다.

‘Sound mind, Sound body, Sound life’라 했던가. 건전한 마음에 건강한 신체가 깃들고, 그 위에 행복한 삶이 영위된다는 의미다. 이번 정부의 정신건강 종합대책이 현 정부의 ‘행복한 사회’ 만들기 프로젝트에 크게 기여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