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컬럼비아대학 알츠하이머 환자 1001명 자료분석…알츠하이머 진단 후에도 뇌경색 조심해야

치매에 걸렸다면 80~90%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나 혈관성 치매다. 알츠하이머성은 건강하던 뇌세포들이 죽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감소되면서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등은 물론 스스로 돌볼 수 있는 능력까지 상실하게 되는 경우다. 혈관성 치매는 뇌경색 등 뇌혈관 질환에 의한 뇌 손상이 누적돼 나타나는 치매다.

대부분 치매는 ‘낫지 않는다’는 편견을 가지거나 치료가 아닌 요양 쪽에만 비중을 크게 두기 쉬운데, 이미 치매로 진단을 받은 이후라도 적절한 검사와 관리,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이미 치매로 진단을 받았다고 해도 적극적인 혈압관리나 정기검사 등을 통해 관리를 하면 진행을 늦출 수 있는 것이다.    

◆뇌경색, 알츠하이머병 환자 ‘수행기능’ 약화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신경과 조수진 교수는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인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월호에 ‘증상성뇌경색이 알츠하이머병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서 조수진 교수는 미국컬럼비아대학 ADRC(Alzheimer disease research center)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임상적으로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된 환자 1,001명의 자료를 이용해 뇌경색이 기억, 언어, 수행기능, 추상적 추론, 시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뇌경색을 동반하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37.6%(376명)였다. 이 중 영상진단 상에는 뇌경색이 있지만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 무증상뇌경색이 308명, 증상을 나타내는 증상성뇌경색은 68명이었다.

이 중 증상성뇌경색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수행기능을 약화시키고 있었다. 그 외 언어기능, 시공간기능도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기억이나 추상적추론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무증상 뇌경색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조 교수는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뇌혈관질환 발생할 경우 뇌경색은 신경전달 통로를 차단해 인지장애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본래 갖고 있던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인지기능장애와 병합돼 동반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알츠하이머를 악화시키게 된다”며 “특히 수행기능 약화를 초래하면서 환자에게 더 큰 고통과 어려움을 줄 수 있으므로 뇌혈관질환의 적극적인 예방이 알츠하이머의 발현시기를 늦추고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뇌혈관질환 예방으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예방
대체로 뇌혈관성 치매는 흔히 심장병이나 고혈압, 동맥 경화 등을 원인으로 하고, 뇌경색 등의 발작이 계기가 돼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발병의 인과 관계가 알려져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는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원인이 되는 뇌혈관 장애에 대한 치료법도 점점 진보돼 앞으로 더욱 감소 경향을 보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계기가 되는 발작도 없고 원인이 불분명해 예방 치료의 방법이 없는 걸로 알려져 있으며 다만 최근 나온 약들로 질환의 진행을 다소 늦출 수 있다.

이에 적절하게 혈압을 조절하고, 뇌혈관의 사소한 변화에도 주의를 기울이며 관리한다면 뇌혈관 질환은 물론 알츠하이머성 치매까지도 사전에 부분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뇌혈관 치료를 받으면 예방이 가능하며 뇌졸중 초기치료만 잘해도 그 진행을 현저하게 늦출 수 있다.

조 교수는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증가하고 있다”며 “가족 중 알츠하이머 치매를 앓은 사람이 있다면 미리미리 예방하고 조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