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간염 집단 감염 사태가 지난해부터 심심찮게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달에는 서울 동작구 한 의원에서 또 다시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발표됐다. 지난 8월 23일 질병관리본부와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건소는 C형간염의 유행이 의심되는 동작구 소재 서울현대의원에 2011년~2012년 기간 방문한 내원자 1만1306명을 대상으로 C형간염 및 혈액매개감염병(B형간염, HIV 감염, 매독) 검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도 주사기 재사용이 집단 감염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됐다.

해당 의원은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심기관으로 신고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내원자 중 C형간염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보다 정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보건당국은 설명했다.

이에 서울 동작구보건소는 2016년 3월 24일 ~ 3월 25일 해당 의료기관 현장 조사를 수행해 환자 명부 및 진료기록부를 확보하고, 환경검체를 수거해 검사 의뢰했으며, 이어서 질병관리본부는 해당 의원 내원자의 C형간염 검사여부 및 결과를 조회해 항체양성률을 분석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보건당국의 사태 처리과정과 관련해 집단 C형 간염 사태의 원인을 신속하게 찾지 못한 데에는 보건당국의 초기 대처가 적절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문제의 의원에서 주사기를 재사용하는 것으로 의심된다는 민원 신고를 받고도 한 달 넘게 지나서야 주삿바늘 등을 수거해 검사함으로써 물증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28일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소속)에 따르면 보건당국은 주사기 재사용에 대한 민원이 접수된 뒤 약 35일이 지난 뒤에야 서울현대의원의 감염 원인을 규명하고자 환경검체를 수거했다.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월 19일 주사기 재사용 의심 신고가 들어오자 2월 19일부터 24일까지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보건복지부에 보고했다. 복지부는 이를 바탕으로 건강보험공단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함께 2월 25일부터 29일까지 이 의원을 현장 조사했다. 조사 결과 해당 의원에서 주사제를 나눠서 여러 번 쓰거나, 주사기를 미리 개봉해 사용한 문제 등을 밝혀냈다. 하지만 이 현장 조사에는 감염병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질병관리본부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 때문에 집단감염의 원인을 밝힐 환경검체도 수거하지 않았다.

복지부는 이후 3월 16일에 질병관리본부에 서울현대의원에 대한 ‘일회용 주사기 등을 재사용한 의심기관에 대한 현장조사에 따른 역학조사 요청’ 공문을 발송했고, 이에 질본은 일주일이 지난 3월 23일에야 서울시와 서울 동작구보건소에 ‘일회용 주사기 등 재사용 의심기관 역학조사 요청’ 공문을 보냈다.

결국 질병관리본부와 서울 동작구보건소는 신고 접수일을 기준으로 35일이나 지난 뒤인 3월 24일 서울현대의원을 현장 조사했다. 하지만 주사 바늘이나 주사기에 담긴 수액제 등의 환경검체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정춘숙 의원은 “다나의원 때만도 못한 보건당국의 뒤늦은 대응과 일 처리로 서울현대의원의 C형 간염 바이러스 물증은 사라졌고, 피해자들의 배상은 더욱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를 접하면서 보건당국은 수차례에 걸쳐 적극적인 역학조사와 검사를 시행해 C형간염 예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하면서, 선의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겠다고 천명해 왔다. 그런데 이번 감염사태 피해자들은 피해 배상이 어려운 상황이 됐다고 한다. 그런 만큼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도 나와야 하겠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