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몸에 좋은 보약도 잘 쓰면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독이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약리학의 속언(俗諺)이다. 현대의학에서도 약의 오남용은 곧바로 독으로 치환된다. 그래서 약을 잘 써야 한다. 그러나 설사 정해진 용량, 용법대로 투여한다 해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게 약의 속성이다. 제약사들의 연구소들은 이런 부작용이 없는 제제 개발과 용법 창안에 불철주야 연구에 몰입한다.

의약품 부작용으로 한해 43만 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도 5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약품 부작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의약품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한 상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조사 대상 기간이었던 지난 2014년을 기준으로 할 때 43만827명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직전 조사 연도인 지난 2010년의 36만4625명과 비교해 볼 때 연평균을 따져 4.3%씩 환자 수가 증가한 셈이다.

부작용으로 인한 환자 수 증가와 함께 의약품 부작용에 따른 진료비 역시 증가일로 양상을 보였다. 2010년 1745억원였던 진료비가 2014년에는 2738억원으로 연평균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에 더해서 교통비, 간병비, 소득손실액 등 부대 추가비용을 합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4년 기준 5352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번 의약품 부작용 분석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의료연구원, 의약품안전관리원이 전 국민 의료이용 자료(연간 14억건)를 데이터로 활용해 도출했다. 그동안 약물 부작용 사례는 제약사, 의약품 복용자, 의료인 등에 의한 자발적 신고로 수집돼 약물 부작용의 규모와 원인 파악이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었다. 그러나 이들 세 보건의료관련기관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을 구축하고, 의약품 안전사용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한다.

의약품 안전사용과 부작용 저감대책은 이처럼 사후적인 모니터링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의약품을 제조하는 제조사와 이를 처방하는 의료기관의 역할이 요체라 할 수 있다. 즉 제조사는 가능한 약품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기전 연구과 약제 개발에 적극 나서고, 처방권자인 의료인들은 처방 시 부작용에 대한 설명과 대응책 등을 숙지시켜야 한다. 무엇보다도 약을 복용하는 환자 자신이 용법, 용량을 잘 지키고 부작용 발생 시 이에 대해 적절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