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약212만명에서 2017년 약231만명으로 연평균 2.1%씩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간(2013~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가 ‘안구건조증’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내역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2017년 건강보험 안구건조증 환자는 231만명
최근 5년간 ‘안구건조증’ 환자 연간 2.1%씩 꾸준히 증가

최근 5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안구건조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약212만명에서 2017년에는 약231만명으로 연평균 2.1%씩 증가해 총 5년간 8.9%(약19만명)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2013년 약68만명에서 2017년 약75만명으로 11.9%(약8만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3년 약145만명에서 2017년 약156만명으로 7.4%(약11만명)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최근 5년간 안구건조증의 진료인원이 연간 2.1%씩 꾸준히 증가한 이유에 대해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영상단말기의 사용 급증이라는 환자 개별적 요인과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의 악화라는 주변 환경적 요인의 복합에 의한 현상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안구 건조증’ 환자 5명 중 1명은 50대에서 발병해
2017년 기준, 남녀 모두 50대 진료인원 가장 많아
2017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안구건조증’ 전체 진료인원 5명 중 1명(19.8%,45만6,715명)은 50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60대 39만1,739명(16.9%), 40대 37만6,206명 (16.3%) 순으로 진료인원이 많았다.

남녀 모두 50대에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는데, 50대에서 남자는 약 13만6,022명(18.2%)이었고, 여자는 약 32만693명(20.5%)이었다. 남자는 50대에 이어 60대 13만3,140명(17.8%), 40대 11만5,868명(15.5%) 순으로 많았고, 여자는 50대에 이어 40대 26만338명(16.7%), 60대 25 8,599명(16.5%) 순이었다. 남녀 모두 40-60대에서 전체 ‘안구건조증’ 환자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인구10만명당 ‘안구건조증’ 환자, 여자가 남자보다 약 2배 많아
2017년 기준 50대 남자 3,258명, 여자 7,724명으로 2.4배 차이 나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안구건조증’ 진료인원 수를 분석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수’를 살펴보면, 100명 중 약 5명 꼴인 4,539명이 2017년 한해 ‘안구건조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남자는 10만명당 2,931명이 ‘안구건조증’으로 진료받았고 여자는 6,160명이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 대비 비교 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약 2배 이상 ‘안구건조증’ 환자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50대에서는 남자 3,258명, 여자 7,724명으로 최대 2.4배까지 환자수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분석해 보면, 고연령대로 갈수록 인구 10만명 대비 ‘안구건조증’ 환자수가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70대에서 인구 10만명당 9,342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80대 이상 연령대에서 8,255명, 60대에서 7,160명 순이었다.

 
박종운 교수는 안구건조증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비교 시, 여성 환자가 2배 이상 많은 추세의 이유를“여성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눈물샘 및 안구표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얼굴 화장품과 속눈썹 문신이 안구건조증에 일부 기여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고연령대로 갈수록 ‘안구건조증’의 진료인원이 많아지는 추세가 나타나는 이유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리 몸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노화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안구에서도 오랫동안 눈을 깜박이며 눈꺼풀이 제 역할을 하는 동안 눈꺼풀 경계에는 만성적으로 안검염이 발생할 수 있다. 안검염으로 눈물 성분 중의 하나인 지방이 제대로 눈물층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눈물층은 빨리 증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건성안이 발생된다. 또한 노화와 관련해 눈꺼풀이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말리게 되면서, 눈물 배출이 지연되면 염증 물질이 눈물관을 통해서 잘 빠져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로 인해 장기간의 염증 노출로 안구표면 상피에 손상이 유발돼 안구건조증이 발생내지 악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구건조증’으로 요양기관 방문 환자, 90% 이상 의원 이용
2017년 기준 총 입⦁내원일수 약 415만 일 중 의원 방문일 약 387만 일
2017년 기준, ‘안구건조증’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총 입⦁내원일수는 415만1,985일이었다. 이 중 93.2%(386만8,969일)는 의원급 요양기관에 방문해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종합병원 3.7%(15만1,950일), 병원 2.9%(12만1,046일), 보건기관 0.2%(1만20일) 순이었다.

입⦁내원일수를 진료인원수로 나눈 ‘평균 입⦁내원일수’를 살펴보면, ‘안구건조증’ 환자는 요양기관종별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평균 1.8일 요양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건조증’ 봄철에 가장 진료인원 많아
2017년 기준 가을 대비, 봄 진료인원 12.0%(약 9만명) 더 많아

최근 5년간 계절별 안구건조증의 진료인원 현황을 살펴본 결과, 매년 봄철에 진료인원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2017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봄철(3월부터 5월) 진료인원은 약 85만명으로 같은 해 가을철(9월부터 11월) 진료인원 약 76만명보다 12.0%(약 9만명) 더 많았다.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은 매년 같은 계절적 추세를 보였는데, 봄철까지 진료인원이 증가해 정점을 찍고 가을철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박종운 교수는 봄철에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이 다른 계절보다 더 많은 이유에 대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대기환경의 악화가 안구표면에 눈물불안정 및 염증을 일으켜 안구건조증을 더욱 유발하게 되며, 계절 알레르기 질환 또한 안구건조증을 유발시켜 더욱 더 치료를 어렵게 하는게 원인이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