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 분석 결과 해방 이후 사회적 변화에 따라 한국인의 두개강 부피 90ml 커져

▲ 1930년대, 1970년대 한국인 두개강의 가상 3차원 모델
▲ 1930년대, 1970년대 남성/여성의 두개강 부피, 높이, 너비, 길이 변화
광복을 전후해 한국인의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크게 달라졌음이 밝혀졌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이홍식)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가 1930년대 태어난 한국인보다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두개강 부피가 약 90ml 더 크고, 더불어 머리의 생김새가 변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자기공명영상(MRI)으로 1930년대와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 115명의 머리를 촬영해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해 연구한 결과, 이 같은 변화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광복 이후 사회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에 태어난 한국인의 머리뼈 안쪽, 즉 두개강의 부피가 광복 이전인 1930년대 출생한 한국인에 비해 약 90ml 커졌으며, 두개골의 형태도 남자는 머리뼈의 높이와 너비, 길이가 모두 커졌고, 여자도 높이와 너비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사회에서도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1-2세기에 걸쳐 머리뼈의 형태학적 변화가 동반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는 광복을 전후로 4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이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시대에 태어난 한국인들이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것은 물론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영양상태 부족 등으로 인해 성장발달이 지연된 반면,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대 한국인은 성장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공급받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임주 교수는 “두개강의 부피와 머리뼈로 뇌 크기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체질인류학뿐 아니라 뇌과학, 진화인류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지표로 여겨져 왔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같은 한국인이라 하더라도 지리적, 환경적 원인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강조하고, “1970년대는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성장을 시작하면서 적정한 영양이 공급돼 한국인의 신체적 변화도 함께 일어난 것이라고 보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