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기(예방-치료-관리) 관점에서 수립, 중앙-권역-지역 연계하는 안전망 구축

 
 
보건복지부는 4일 「심뇌혈관질환관리위원회」를 열어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분야 최초의 법정 계획이다. ‘심뇌혈관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비전으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고혈압・당뇨병, 심부전 등 심뇌혈관질환을 ‘예방-치료-관리’한다는 전주기적인 관점에서 수립됐다.

그동안 관련 학회와 분야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현장중심형 계획으로, 심뇌혈관질환 관리 정책과 관련해 향후 5년간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담고 있다.

심뇌혈관질환(급성심근경색, 뇌졸중, 고혈압・당뇨병 등)은 우리나라 전체 사망 원인의 2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심뇌혈관질환의 진료비와 사회경제적 비용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심뇌혈관질환은 노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인구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큰 질병으로 발전하기 전의 예방 관리와 함께 가까운 곳에서 적정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인프라)을 구축하고, 급성기 진료 후 후유증・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후관리가 주요 정책분야로 제시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러한 정책방향 하에서 5개 추진전략, 14개 중점과제를 마련했다.

대국민 인식 개선과 건강생활 실천
심뇌혈관질환의 위험 요인, 예방수칙 등에 대한 중장기 홍보전략을 수립(2019년~)해 2014년부터 시행된 전국 캠페인을 강화해 나간다.

또한, 일상생활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직장 교육과 연계해 생활 속 관리가 필요한 건강위해 요인에 대한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질환의 증상과 대처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을 강화하고,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 방법 교육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시도, 보건소)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협업을 강화한다.

매년 증상에 대한 인지도와 대처 능력에 관한 주기적인 조사를 실시(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해 사업 성과를 점검한다.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알기 쉬운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 이용할 수 있는 종합포털사이트를 운영(2020년~)해 정보의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고위험군 및 선행질환 관리 강화
한국인에게 적용 가능한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고위험군 선별 기준과 선별 도구・관리 지침 등을 개발(2019년~)해 확산한다.

보건소와 동네의원에서 고위험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임상진료지침을 개발・보급해 선행질환(고혈압・당뇨병 등) 관리의 효과를 높인다.

동네의원 중심으로 만성질환(고혈압・당뇨병) 환자에 대한 등록・상담・교육 등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과 자가(自家)관리를 지원하는 체계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보건소를 중심으로 처음 고혈압・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나 젊은 환자, 독거노인 등 조절이 어려운 취약환자에 대한 교육・관리 서비스 강화 모델을 개발・적용한다.

지역사회 응급대응 및 치료 역량 강화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중심의 안전망을 중앙-권역-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로 연계되도록 안전망을 확충한다.

국가 심뇌혈관질환관리 사업의 구심점 역할 및 기술지원을 위한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할 계획이다(2018년~, 모형 개발).

이와 함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예방-치료-재활의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원하도록 기능을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지역사회 내에서 급성심근경색・뇌졸중 등 응급상황 대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운영한다.

한편,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 일차(지역)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 급성기 치료가 종료된 입원환자에 대한 조기재활서비스를 활성화한다.

환자 지속관리 체계 구축
급성심근경색증과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체계적인 정보 제공과 상담 서비스,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등 종합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이외에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환자의 기능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제공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관리 기반, 조사, 연구개발(R&D) 강화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통계와 성과지표 산출방안을 마련하고, 장단기 전략을 개발해 국가 단위 통계(국가승인통계)를 산출(2020년 이후)한다.

심뇌혈관질환분야 연구개발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2019년)하고, 현재 개발돼 있는 임상진료지침 등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이외에 전문인력 수요평가, 의료진과 환자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심뇌혈관질환 안전망 구축, 정책통계 생산 등 주요 과제의 추진을 위해 과제별로 연구용역 등 모델 개발을 시작했다. 이를 토대로 2019년부터 분야별 전문가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만들 방침이다.

보건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번 종합대책은 그동안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조기 발견・관리를 위해 시행돼 왔던 다양한 사업들을 하나의 방향성에 따라 정리하면서, 그동안 정책으로 포괄하지 못했던 환자의 급성기 치료 이후 사후관리까지 범위를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중앙-권역-지역 센터 안전망, 환자 지속 관리 방안, 통계 구축 등 새로운 과제의 구체적인 모델을 조속히 마련・시행해 이번 종합계획이 제대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