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관절이 충돌하거나 빠지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생기는 통증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허벅지뼈 맨 위에 있는 동그란 공 모양의 대퇴골두와 골반 쪽에 있는 소켓 모양의 비구 연골이 충돌해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은 생각보다 꽤 흔한 질병인데 고관절을 과도하게 굴곡시키는 자세로 인해 대퇴골두와 비구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비구 끝이 자라 지나치게 커졌다든가 대퇴골두의 모양이 변하면 고관절을 움직일 때 부딪히기 쉽다. 가령 대퇴골 모양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방바닥에 책상다리로 앉는 자세를 자주 취하면 뼈끼리 마주치는 충돌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크다.

강북힘찬병원 이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고관절 환자들은 문제가 생긴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뒤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다”며 “고관절의 구조적 이상은 X-ray 검사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쉬어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고 반복된다면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고관절 충돌증후군으로 생기는 통증은 양반다리 등 허벅지를 벌리는 동작에서 쥐가 난 것처럼 저릿한 증상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다리를 좌우로 많이 벌리거나 고관절을 많이 굴곡시킬 때 통증이 더 심해진다. 초기라면 다리를 양쪽으로 벌리는 동작을 피하고 약물치료와 적절한 운동을 더하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고관절을 과도하게 굴곡시켰을 때만 통증이 나타나 일상에서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을 방치해 질환의 경과가 진행되면 잦은 충돌로 고관절 비구 연골이 찢어지거나 손상돼 퇴행성 고관절염으로 이환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원인을 찾아 약물치료, 주사치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등 노력해 보고, 모든 방법이 효과가 없을 때 수술 결정을 하는 것이 최선이다. 비구 연골이 찢어졌다면 봉합하거나 절제하는 수술이 필요하고, 대퇴골두를 다듬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엉덩이 관절 안에 위치한 공 모양의 대퇴골 머리 부분이 밖으로 빠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태어나면서 선천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고, 성장하면서 발육 부진을 보이기도 한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정확한 발생 원인을 규명할 수는 없지만 관절막 이완, 가족력, 인종적 차이 등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관절 이형성증은 신생아 때 발견하면 비교적 간단히 교정할 수 있지만 누워만 있는 아기에게 이상 증상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걸음마를 시작해야 이상을 느끼는데 한쪽 고관절이 빠져 있다면 다리를 절뚝이며 걷고, 양쪽 고관절이 다 빠져 있을 때는 뒤뚱뒤뚱 걷게 되지만 이 때는 교정만으로 치료가 어려워 걷기 전에 이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생아의 가랑이 피부 주름이 다르거나 한쪽 가랑이가 덜 벌어지는 것으로 질환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아기의 대퇴부나 둔부 피부 주름이 비대칭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아이를 바로 눕혀 허벅지를 몸통과 직각으로 세우고 다리를 밖으로 벌릴 경우 탈구가 있는 고관절은 정상에 비해 잘 벌어지지 않는다. 치료는 출생부터 6개월 사이에는 보장구를 사용해 탈구된 대퇴골두를 비구 내로 넣는다. 아이가 걷게 된 후 발견된 경우에도 이차적인 골 변형이 있지만 수술로 재형성 능력을 회복시키는 치료가 필수적이다.

만약 성장기에 탈구가 계속 진행되면 다리가 짧아지고 근력이 약해지며 다리를 절고, 골반 및 대퇴골 성장이 저하되거나 나중에 퇴행성관절염이 쉽게 생기는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실제 고관절 이형성증을 방치해 성인이 된 후 고관절이 많이 망가져 인공고관절 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지만 치료 시기와 연관이 있으니 부모가 관심을 갖고 관찰해 조기에 진단한 뒤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자녀가 보행을 시작하는 시기에 걸음이 또래보다 느리거나 걸을 때 뒤뚱거리고 발가락을 많이 사용해 걷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