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3.4배 더 많고, 전 연령대 중 50~60대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 알코올 사용장애(F10.0~F10.7, T51.9)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5년간 연평균 1%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 기준 남성 환자가 57,692명으로 여성 환자 17,010명보다 3.4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건강보험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는 7만5천여 명
남성 환자가 여성 환자보다 3.4배 더 많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알코올 사용장애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수는 2014년 7만8천여 명이었으나 2018년에는 7만4천여 명으로 소폭 감소했고, 5년간의 연평균 감소율은 1%였다.

남성 환자는 2014년 6만2천여 명에서 2018년 5만8천여 명으로 4천여 명 줄어들었고, 여성 환자는 2014년 1만6천여 명에서 2018년 1만7천여 명으로 1천여 명 늘어났다. 남성 환자는 연평균 감소율 1.73%, 여성 환자는 연평균 증가율 1.6%를 기록, 최근 5년간 여성 100명당 남성 성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387.6 → 339.2).

2018년 기준 성별 인원을 보면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인원은 전체 7만5천여 명 중 5만8천여 명(77.2%)이 남성 환자이며, 이는 여성 환자 1만7천여 명(22.8%) 대비 약 3.4배에 달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덕종 교수는 남성이 여성보다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가 3.4배 많은 것에 대해 “남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여성보다 많은 것은 대부분의 인종 및 사회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아마도 생물학적인 요인이 영향을 끼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실제로 중독되는 뇌로 진행되는 과정에 연관된 신경전달 물질 수용체가 남성이 여성보다 활성화돼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남성의 알코올 사용에 보다 관대한 문화, 남성이 음주 등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환경적 요인, 임신·양육 과정 등에서 여성이 금주를 하게 되는 상황 등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소 역시 남성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비중을 더 높게 만든다. 다만 최근 사회·문화적인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알코올 사용장애 빈도 차이가 좁혀지는 양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하고, “비록 여성의 알코올 사용장애가 적은 비중을 차지할지라도 알코올 사용장애로 이환된 여성의 임상 양상이 더 심각한 경우도 많다. 여성은 술을 분해시키는 효소가 남성보다 적으며 체내 지방조직에 비해 알코올을 희석할 수 있는 수분의 비중은 적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따라서 같은 양과 패턴으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면 혈액을 통해 전달되는 알코올의 독성은 여성에서 더 높으며 이로 인해 간질환, 위장 장애, 심근병 등의 신체적 질환의 위험성이 크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알코올 사용장애로 요양기관을 찾는 환자 중 남성은 50대 여성은 40대가 가장 많아
2018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보면 알코올 사용장애 전체 진료인원 중 50대가 19,793명(26.5%)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15,256명(20.4%)으로 뒤를 이어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실인원은 50대에서 최고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은 22.8%(3,883명)로 40대가 많았고, 남성은 28.2%(16,269명)로 50대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건강보험 적용 인구 대비 진료실인원의 비율인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60대 243명, 50대는 234명이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를 받았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60대가 438명, 여성은 20대와 40대가 9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이 1.16%로 남성 –2.04%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덕종 교수는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실인원 중 50~60대의 비율이 높은 것에 대해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료받는 연령이 50~60대가 많은 가장 큰 이유는 과다한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여러 어려움들이 겉으로 드러나고 환자의 건강 및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게 발현되는 연령대가 50대~60대이기 때문이다. 알코올 사용이 신체 및 뇌 건강에 끼치는 해로움은 점차 축적되며 우리 몸이 이에 대해서 저항할 수 있는 힘은 점차 약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맞물려 장년층 이상이 되면 건강 문제가 심각해져 결국 병원을 방문하게 되는 것”이라면서, “알코올은 뇌기능을 떨어뜨려서 충동성을 높이고 통제력을 낮아지게 만들어 행동문제를 유발하며, 집중력 및 인지기능 발휘를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50~60대가 이 상황을 겪으면 알코올성 치매를 걱정해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알코올에 너그러운 문화와 인식,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역시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이 비교적 늦은 시기에 이르러서야 병원을 찾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알코올 사용장애 입원 환자수는 최근 5년간 감소세가 두드러져(3만1천여 명 ☞ 2만4천여 명)
외래와 약국 환자수는 소폭 늘어나(7만여 명 ☞ 7만2천여 명)

알코올 사용장애 질환의 입원 환자수는 2014년 3만1천여 명에서 2018년 2만4천여 명으로 7천여 명이 감소해 연평균 감소율 6.1%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외래와 약국 환자수가 7만여 명에서 7만 2천여 명으로 2천여 명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연평균 증가율 외래 0.96%, 약국 0.66%).

알코올 사용장애 진료비 2014년 2,183억원에서 2018년 1,895억원으로 연평균 3.42% 감소
알코올 사용장애 질환의 전체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4년 2,183억원에서 2018년 1,895억원으로 288억원이 감소해 연평균 감소율 3.4%를 기록했다. 입원 진료비는 연평균 4.2% 감소, 외래 진료비는 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 1인당 진료비는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5.4%로 늘어나고 있어, 입원 1인당 진료비의 연평균 증가율 2.1%에 비해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