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강도와 자살 충동 연관성 규명, 남성에 비해 여성이 자살 충동 더 낮아져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와 김현욱 전공의 등의 연구팀이 신체활동,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자살 충동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총 7,1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서 운동습관뿐만 아니라 성별, 소득, 음주 여부 등과 자살 충동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꾸준한 운동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포함된 국제신체활동설문(IPAQ) 기준에 따라 운동량을 낮음 / 적당함 / 높음의 3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운동량이 낮은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9.1%인데 비해 적당히 운동하는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6.6%로 약 1/3 감소한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성별을 구분해 그 상관 관계를 밝힌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의 경우가 꾸준한 운동이 자살 충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나치게 과한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는 자살 충동 비율은 6.3%로서 소폭으로만 감소했는데 이는 지나친 신체 활동은 오히려 대인 관계 결여, 근육 이상, 섭식 장애 등 안 좋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창수 교수는 “신체활동이 정신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자살 충동에 대해 신체활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왔다”면서 “활발한 신체활동은 자살 충동을 낮추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추후 성별 및 신체활동 범위 여부에 따른 자살 충동 관련 권장 사항 제안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7년 우리나라의 자살건수는 12,463건이었으며 자살률은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2016년 기준)했다. 특히 취업난과 경쟁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20대의 경우 2017년 전체 사망자 중 절반에 달하는 44.8%가 자살이었고, 육체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은 58.6명이었는데, 이는 OECD 평균의 3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이다. 이처럼 국내에서 자살은 정신질환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신체활동 이외에도 자살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우울증과 극심한 스트레스 등을 통해 한 번이라도 자살 충동에 대한 생각을 가져봤다면 온라인 자가진단 등을 통해 스스로 주기적인 점검을 시행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 긍정적인 사고를 유지하도록 노력하고 균형 잡힌 영양섭취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는 생활습관을 통해 자살충동 요인을 사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4년 자료 중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와 신체활동 측정 도구인 IPAQ(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를 이용해 이루어졌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