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급성심장정지 3만539건 발생, 8.6% 생존(2008년 대비 3.4배 증가)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청장 정문호)은 2006~2018년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7일 공동으로 발표했다.

2018년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 환자 건수는 3만539명으로 10년 전(2008년)보다 약 39.4% 증가했다.

성별·연령별로 살펴보면 남자의 비율(64.0%)이 여자의 비율(35.9%)보다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증가했으며, 특히 70세 이상 어르신의 발생률은 전체 발생의 약 50%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원인별로는 질병이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3% 이상을 차지했다.

장소별로는 가정이 대부분(45.3%)을 차지하며, 그 외 도로·고속도로(7.7%), 요양기관(7.6%), 구급차안(6.1%) 순으로 나타났다.

활동별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중(31.1%)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치료 중(8.2%) 근무 중(5.4%), 여가활동 중(2.0%)에도 발생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2018년 생존율은 8.6%,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10년 전(2008년)보다 각각 3.4배, 6.4배 증가했고, 전년 대비 비슷했다.

 

환자가 쓰러지거나 쓰러진 환자를 목격한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매년 증가(2008년 1.9% → 2017년 21.0% → 2018년 23.5%)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율은 약 1.9~3.3배, 뇌기능 회복률은 약 2.8~6.2배 높게 나타났다.

정은경 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급성심장정지 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심폐소생술 실시 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환자를 발견했을 때는 신속히 119에 신고해야 하고,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2020년에 국제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새로이 개정됨에 따라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는 소방청과 함께 표준화된 교육을 더욱 확산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질병관리본부는 급성심장정지조사 현황 및 결과를 공유하고 생존율 향상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소방청과 공동으로 27일 9시 30분부터 「제 8차 급성심장조사 심포지엄」을 더 플라자호텔에서 개최한다.

「2006-2018년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집」은 12월 30일 발간되며, 17개 시·도, 소방청 및 의료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 누리집(www.cdc.go.kr)에서 열람이 가능하며, 아울러 원시자료 공개도 동시에 추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