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석학들, KOREA에서 코로나19 이후 논의

 
 

고려대학교의료원(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김영훈)은 23일 미국 존스홉킨스대, 영국 맨체스터대, 독일 베를린자유대와 공동주최한 넥스트 노멀 컨퍼런스(Next Normal Conference) 2020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Reimagining The Next normal(새로운 표준에 대한 재구상)을 주제로 고대 의대 유광사홀에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에는 미래학의 권위자인 짐 데이토 하와이대 마노아캠퍼스 명예교수를 비롯해 마틴 맥키 런던대 보건대학원 교수,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등 국내외의 석학들이 참여했다.

컨퍼런스의 시작은 기조강연을 맡은 미래학자 짐 데이토 교수였다. ‘균열된 시간이 주는 교훈 : 4가지 미래(Learning from a Cleft in Time: Four Futures)’를 주제로 발표한 짐 데이토 교수는 “하나의 미래를 예언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우리가 선호하는 미래를 디자인하고 탐색해볼 수는 있다”고 말하며 인류가 맞이할 수 있는 4가지 미래를 제시해 참석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했다.

그는 또 “한국은 그동안 서구 선진국의 발전모델을 충실히 답습해 현재의 놀라운 경제적·문화적 번영을 달성했다. 게다가 이번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글로벌 롤 모델 국가의 면모도 보여줬다. 더 이상 한국이 뒤따르고 학습할 모델은 없으며 창조적인 길을 걸어 나가야 한다. 미국의 지난 50년과 앞으로의 50년은 매우 다를 것이므로 다른 국가들의 새로운 국제사회 역할이 필요하다. 한국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세계의 헤게모니를 쟁취할 수는 없겠지만 다른 나라들과 협력해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찾아온 지금의 기회를 놓치지 말길 바란다”고 밝히며 대한민국에 대한 조언도 빼놓지 않았다.

고대의료원의 수장인 김영훈 의무부총장과 짐 데이토의 대담도 이어졌다.

김영훈 의무부총장은 “팬데믹이 사회에서 가장 소외되고 관심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더욱 치명적인 상처를 줬다는 점을 우리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취약한 곳을 먼저 공격한다. 코로나 이후에도 반복될 또 다른 신종감염병을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인류는 사회적 면역력과 삶의 마지노선을 끌어올려야 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둘은 이외에도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인류의 연대, 인간과 AI의 성공적 공존, 대한민국의 국제사회에서의 바람직한 역할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넥스트 노멀을 향한 지혜를 공유했다.

이어 송진원 고대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의 특별강연과 윤영욱 고대 의과대학장과의 대담이 이어졌다.

송진원 교수는 ‘한탄바이러스에서부터 미래의 신종바이러스까지 : 인류는 바이러스로부터 무엇을 얻을 것인가(From Hantaan virus to next one: What the world can learn from virus)’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이호왕 교수의 한탄바이러스 발견부터 백신 개발에 이르기까지 고대의료원의 헤리티지를 소개한 후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글로벌 감시 및 조기 진단 시스템과 검역 시스템을 포함한 국제공조 체계의 시급성 그리고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비한 백신 플랫폼 개발 필요성도 강조했다.

다음으로 통합세션이 진행됐다.

권준욱 국립보건원장은 공중보건의 관점에서의 한국의 코로나19 대응(Korea’s Response to COVID-19 from the Public Health Perspective)을 발표하며 K-방역 최전선 수장으로서의 생생한 입장을 전달했다.

마틴 매키 런던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코로나19와 경제에 대한 통합적이고 일관된 대응의 필요성(COVID and the economy – we need a comprehensive response that includes both)’을 주제로 강연하며 “20세기 초 미국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사례를 살펴봤을 때 어떤 상황이라도 생명을 살리는 것이 우선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당시에도 가장 먼저 봉쇄를 시행하고 가장 나중에 해제한 도시들이 많은 생명을 구하고 가장 빠른 속도로 경제가 회복됐다”고 밝혔다.

또한, 사망률이 높은 미국, 러시아, 영국, 브라질, 인도 등의 공통점은 포퓰리즘 정부라며, 과학을 무시한 일방적인 경제살리기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이 외에도 마틴 매키 교수는 위기 시 과감한 예산집행을 통한 정부의 적극적 경제 보호, 고용 유지를 통한 노동자 보호, 팬데믹 재발생에 대한 지속적 대비 등을 주문했다.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의 커틀랜드 로빈슨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봉쇄와 이동 제한으로 인한 인간의 건강(Human Immobility and Health in a Post-COVID-19 World)’이라는 발표를 통해 "한 국가의 해외여행 연관성은 코로나19 발생 후 첫 6개월간 확산의 핵심요인이었으며, 바이러스의 확산은 이민자, 여행자, 비즈니스맨 또는 환승객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국가 간 이동의 리스크와 Immobility(자본, 노동, 상품의 순환이 정지된 상태)로부터의 보호 방안 그리고 국경 안팎의 포괄적인 공동대응을 통한 질병확산 방지 등에 대한 국제사회의 전반적인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베를린자유대의 이은정 교수는 코로나 대응에 있어서의 인종차별주의와 차별(Racism and Discrimination in COVID-19 Response)을 주제로 강연하며, 팬데믹 발생 시 수세기 전부터 이어진 서양의 동양인 차별과 인종주의적 시각의 역사를 소개하고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여전히 변하지 않은 서유럽의 속내를 해설했다.

이은정 교수는 “코로나19 이후의 넥스트-노멀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여전히 뿌리 깊은 동서양의 차별과 편견, 인종주의가 인류의 전진을 가로막고 있다”는 시각을 보여줬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을 넘어 넥스트 노멀을 향한 보건의료 영역의 도전과 대응 전략(Beyond COVID-19 pandemic : challenges and response strategy for the next normal)’을 주제로 코로나 19와 신종감염병에 대해 균형잡힌 시각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현대의 인류가 금단의 선을 넘어 야생동물을 취식하고 무분별한 개발 및 환경파괴를 가한 대가가 21세기에 이어지는 신종감염병 연쇄 팬데믹이며, 이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통해서만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 앞으로는 인간, 동물 그리고 환경을 따로 보지 않고 하나의 One Health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끝으로 윤석준 고대 보건대학원장을 좌장으로 통합세션의 연자들과 차지호 맨체스터대 인도주의·분쟁대응연구소 교수, 박만성 고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가 패널로 참여해 통합세션에 다뤄졌던 내용을 주제로 자유로운 토론의 시간을 가지며 이날 컨퍼런스를 갈무리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