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성과 분석 및 향후 추진 방향 논의

보건복지부는 29일 연구중심병원협의회 토론회를 열어 그간 연구중심병원의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연구중심병원은 2013년 지정된 이래 연구 기반 구축, 연구개발 인력 확보 등 병원을 진료-연구 균형 시스템으로 변화시켜 나가고 있으며, 그 결과 전체 병원의 연구 역량도 전반적으로 크게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병원과 연구소·대학·기업 간 연결망을 더욱 강화하고 이를 토대로 환자 치료를 위한 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중심병원의 가장 큰 변화는 병원의 연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전담 조직 설립과 자체 연구비 투자 증대이다.

연구중심병원 총의사수(5,464명) 대비 연구에 참여하는 임상의사수(연구 참여 임상의사, 연구전담의사 포함)는 1,923명으로 35%에 달한다(2019년 기준).

연구중심병원의 자체 연구비 투자는 연평균 5.0%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보건의료분야 정부 연구개발(R&D) 예산, 연구중심병원의 총연구비와 비교하면 다소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중심병원은 기술사업화 환경 구축을 위해 기술이전 전담조직, 기술사업화 지원시스템 등을 갖춰 왔으며, 지속적인 기술이전으로 인한 수입 창출을 통해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는 연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직과 지원 시스템을 갖춘 연구중심병원은 우수 기술(특허 등)을 조기 발굴해 국내외 기업․연구소 등에 기술이전했다. 그 결과 누적 기술이전 건수 948건, 수입액 약 447억원을 달성했다.

연구중심병원의 기술이전 수입액은 연평균(2013~2019년) 34.6% 증가했으며, 공공연구소, 대학 등 타 기관의 연평균(2013~2018년) 상승률과 대비해서도 약 14.4배, 2.1배 상승해 왔다.

연구중심병원은 바이오헬스산업의 연구개발 및 창업 기반으로서 병원이 보유한 우수한 인력 및 장비 등 인프라를 외부에 적극 개방하고, 다기관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외부기관과 수행한 공동연구는 1,213건이며, 중소․중견, 벤처기업과의 협력 사례가 47.5%에 달하고, 기구축된 자원을 외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사례 역시 크게 증가했다.

고대구로병원과 아주대병원은 개방형실험실 구축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병원과의 연계가 필요한 보건의료분야 50여 개 초기 창업기업을 병원에 입주시켜 지원하고 있다.

연구중심병원發 창업기업 수는 2013년 1건 이후 2019년 15건으로 연평균 57% 증가했고, 2013년부터 2019년까지 81개社(누적)가 창업했다. 2019년 기준 매출액은 약 86억원으로 지난 2014년 대비 약 9배 증가하는 등 매출액 및 창업기업 종업원 수 역시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2019년 기준 연구중심병원 74개(폐업 등 7건 제외) 창업기업의 종업원 수는 총 509명으로, 경력이 오래된 창업기업일수록 평균 종업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연구중심병원 육성 R&D 과제에서 창출된 연구진의 연구개발 성과물이 창업으로 이어지고 있어 국내 기술로 개발된 우수한 제품들이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R&D의 성과를 제고해 최종 수요자인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우수한 병원 연구기술의 기술사업화 및 연구개발 재투자 촉진을 통해 생태계 혁신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한, 중기부와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올해 11월부터 연구중심병원의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3년 미만 초기 창업기업 대상으로 사업안정 및 성장을 위해 자금, 특화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연구중심병원의 성과가 실용화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연구중심병원이 개방형 융합연구 통합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협력 방안과 그간 성과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지정 평가 기준, 성과목표 재점검 등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도개선 방안 등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