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복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침 분비 불균형, 신속한 진단으로 원인 질환 치료해야

이유 없이 입 안이 마른다면 구강건조증을 생각해 봐야 한다. 우리 입 안의 침은 중요하지 않은 것 같지만 윤활작용을 통해 음식물이 서로 잘 섞이고 덩어리지게 만들어 잘 삼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치아 및 구강 점막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침 속 항균 물질을 통해 미생물을 조절하고 자정작용으로 구강을 깨끗하게 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수행하는 침의 분비가 원활하지 않으면 입 안이 마르고 이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구강건조증이라 한다.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경우, 말하기 힘든 경우, 자다가 자주 깨서 물을 찾는 경우, 입 안 점막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는 경우, 음식 맛을 잘 느낄 수 없는 경우, 구취 등이 있다.

구강건조증의 대표적인 원인은 약물 복용이다. 약 600여 종의 약물이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알레르기 치료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와 불면증이나 우울증 등을 치료하는 정신신경계 약물이 구강건조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젊은 층보다 고령에서 많이 발생하는 구강건조증을 노화 현상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보다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섭취하는 약물이 늘어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구강건조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강검사를 통해 충치, 치주염, 구강 점막, 혀 등의 상태를 파악하며 타액 분비율 측정을 시행한다. 침 분비가 분당 0.1ml 이하일 경우 구강건조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경우에 따라 쇼그렌증후군 등 타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소타액선 조직검사나 CT, 타액선 스캔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원인 질환이 있을 경우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가 시행돼야 하며, 상태에 따라 침 분비 촉진을 돕는 약물이나 건조함을 완화하기 위한 인공 타액 등을 사용한다.

대동병원 치과센터 성지윤 과장은 “입 안이 건조할 경우 일상생활이 불편한 것은 물론 충치, 치주염, 구취, 구강 칸디다 등 구강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만큼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입이 마른다고 해서 단순 구강건조증으로만 의심할 수 없고 쇼그렌증후군, 당뇨, 빈혈 등의 다른 원인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침 분비가 감소할 경우에는 가까운 치과르르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구강건조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입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도록 하며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흡연, 음주, 과로는 피하고 입 안이 건조할 경우 충치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당분 섭취를 줄이고 구강 청결에 신경써야 한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