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11일은 ‘세계 파킨슨병의 날’로 파킨슨병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영국 의사인 제임스 파킨슨의 생일을 기려 제정됐다.

치매, 뇌졸중과 함께 세계 3대 노인성 뇌질환으로 꼽히는 파킨슨병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 기준 2016년 11만917명에서 2019년 12만5,607명으로 13.2% 증가했으며 2019년 기준 80대 49.5%, 70대 35.4%, 60대 11.4% 순이며 남자(32%)에 비해 여자(68%)에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킨슨병은 1817년 영국의 파킨슨 박사에 의해 처음 언급돼 현재는 대표적인 노인성질환으로 알려진 질병이다. 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신경세포가 죽어가면서 경직, 몸 떨림, 행동 느림, 자세 불안정, 균형 장애 등의 운동 장애와 함께 인지장애, 환시, 우울증, 자율신경계 증상 등 비운동 증상이 나타나는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초기 증상은 통증이나 우울증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 중 5∼10%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확인되지만 현재까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특별한 진단방법도 없어서 파킨슨병을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안정 시에 뚜렷하게 나타나는 떨림 증상과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돼 관절을 수동적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경직 증상, 느린 행동과 발음 감소, 무표정한 얼굴 등으로 나타나는 느린 움직임, 몸이 앞으로 구부정하고 엉거주춤한 상태로 서 있는 자세 불안정 등이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이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걸음을 걸을 때 보폭이 짧고 몸을 앞으로 쏠린 채 종종걸음을 걷게 돼 잘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전형적인 파킨슨병의 경우 증상과 신경학적 검사만으로 충분히 진단을 내릴 수 있지만 증상이 유사한 이차 파킨슨병이나 비정형 파킨슨병이 많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 혈액 검사와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이나 도파민 운반체의 밀도 및 분포를 측정하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 뇌의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한다.

파킨슨병이 발병한 환자는 빠르게 진행되는 경우 2∼3년 내에 타인의 도움 없이는 생활을 할 수 없는 정도가 되기도 한다. 한 번 발병하면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 파킨슨병은 계속 진행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면 회복은 어렵지만 20년 이상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치료가 어렵지만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해서 약물치료, 재활치료, 수술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특히 파킨슨병 환자는 근육경직이 있어 통증을 많이 호소하게 되는데 이런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해 보행 훈련, 자세 교정 등 재활치료를 꾸준히 해주어 근육이 경직되는 속도를 늦춰야 한다. 그 외에 고주파 치료는 오랜 약물 복용과 재활치료로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 경우 사용하게 된다.

흔히 파킨슨병을 치매나 알츠하이머 등의 질병과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억장애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는 치매와 달리 파킨슨병은 신체적 제약이 가장 먼저 발생한다. 또한 모든 파킨슨병 환자가 치매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전체 환자 가운데 약 30∼40% 정도만이 말기에 치매증상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빠른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면 파킨슨병 환자가 치매에 걸리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대동병원 신경과 신혜경 과장은 “파킨슨병 자체는 수명에 직접적 영향을 주진 않지만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며 폐렴이나 낙상사고 등의 합병증으로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느리게 진행되는 병인만큼 주기적인 신경과 전문의 진단을 통해 적절한 약물과 운동 등의 관리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파킨슨병 환자는 규칙적인 약물 복용과 운동 이외에도 금연과 금주, 균형 잡힌 식사와 적당한 운동, 심리적인 안정 등이 중요하다. 특히 행동 제약이 큰 파킨슨 환자는 쉽게 변비에 걸리기 때문에 야채나 과일, 그리고 적절한 양의 단백질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수적이다. 평소 맨손체조, 걷기, 관절 운동 등을 규칙적으로 하루 2∼3회 정도 실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