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관절 질환, 체온 및 골밀도 관리, 유산소 운동으로 예방할 수 있어

전국적으로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본격적인 겨울을 맞이했다. 이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관절 주위 근육과 인대가 수축하고 혈액순환이 저하돼 관절의 유연성이 떨어지므로 관절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또 빙판길로 인해 바닥이 미끄럽고 두꺼워진 옷을 입으면서 민첩성이 떨어져 넘어질 경우 골절 가능성이 크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권영삼 원장의 도움말로 겨울철 관절 건강에 대해 알아본다.

겨울철에 자주 발생하는 관절 질환에는 발목염좌, 무릎관절염, 고관절 골절 등이 있다.

발목염좌는 충분히 발목을 이완하지 않은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 쉽게 발생한다. 발목 바깥쪽의 인대가 얇은 탓에 대부분 발목 외측에서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 발목 주변 통증, 멍, 부종 등이 있다. 특히 겨울철에는 발목 인대가 수축돼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목 주변 근육을 충분히 풀어준 다음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재발 또는 만성으로 이어지기 쉬우므로 만약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 연골이 닳으면서 연골 아래 뼈가 노출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통증이 발생하고, 오래 걷고 난 뒤에도 무릎 주위가 붓고 열감과 통증이 발생한다. 문제는 무릎 연골에는 혈관과 신경이 없어서 연골 두께의 70% 이상이 닳아 없어진 다음에야 통증을 느끼게 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관절염이 악화되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한 번 손상된 연골은 복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따라서 날씨가 추워지면서 무릎 통증이 심해졌다면 지체하지 말고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고관절 골절은 1년 이내 사망률을 20%에서 50%까지 보고하는 논문이 있을 정도로 노년층에게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는 낙상이나 교통사고 등으로 생기지만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겨울철 일상적인 활동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골절 시 바깥쪽 대퇴부와 서혜부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대퇴부를 구부리거나 회전할 경우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움직임이 제한돼 오랜 시간 누워서 지낼 수밖에 없어 욕창, 폐렴, 심장질환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여느 질환이나 마찬가지이지만 골절, 염좌와 같은 관절 질환은 발생 후 속히 정확한 진단을 토대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남베드로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권영삼 원장은 “넘어지거나 다쳤을 경우 72시간 이내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정형외과를 찾아야 한다”며 “부상에 대해 스스로 진단을 내리지 말고 진단 장비를 통해 정확한 진단 후 치료해야 추가 부상과 재발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관절 질환은 손상 정도에 따라 운동이나 약물 주사 등 보존적 치료를 할 수 있다. 다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중증도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권영삼 원장은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시간이 지날수록 퇴행성 변화까지 더해져 수술을 받더라도 결과가 좋지 않거나 재활이 힘들 수 있다”며 “수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미루기보다 숙련의를 찾아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겨울철 관절 질환은 체온 관리, 유산소 운동, 골밀도 관리 등으로 예방할 수 있다. 외출 시 두꺼운 옷 한 벌보다는 얇은 옷 여러 벌을 걸치고, 장갑 착용, 핫팩 활용 등 보온에 신경 쓰는 것이 좋다. 또 활동량이 줄어들면 골절이나 염좌와 같은 관절 질환 발생률이 높아지므로 주 3~4회 30분에서 1시간 정도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그리고 유제품, 멸치, 꽁치, 두부 등 칼슘과 철분,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고 가급적 싱겁게 먹는 식습관을 유지해 골밀도를 관리해야 한다. 또 흡연은 칼슘 흡수율을 저하하고 술 역시 뼈 생성을 억제하므로 금연, 금주는 필수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