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한 충치 때문에 최근 아래 어금니의 통증을 느끼던 이모(35)씨는 치과 진료 후 신경치료를 시작했다. 수차례의 신경치료 후 치아를 씌워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이씨. 치료 후 통증이 사라져 아프지도 않은데 굳이 치아를 깎아내고 비용을 들여 치아를 씌워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치과 이경은 교수는 어금니의 신경치료 후 치아를 씌우는 과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말한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타액‧세균에 의한 오염 가능성 높아
첫째, 신경 치료를 해야 하는 치아들은 대부분 이가 많이 썩거나 깨져 있다. 신경 치료를 하려면 신경관(근관)에 기구를 넣어 기계적으로 안쪽의 치수 조직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치아의 머리 부분(치관부)의 치수강을 개방하고 신경관(근관) 입구를 노출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치아 머리 부분의 치아조직을 상당히 많이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신경 치료 후에는 남은 치아조직의 양이 적어지므로 충격이나 씹는 힘 즉 교합력에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또 치료 도중 변화된 치아의 모양 때문에 음식물이 끼거나 반대편의 치아가 움직이기도 하며, 소실된 치아조직 부분을 커다란 충전물로만 막아놓게 되면 이 충전물의 모서리가 쉽게 부서지면서 타액이나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어 확실히 수복해 주는 것이 좋다.

치아 푸석해져 쉽게 부서질 수 있어
둘째, 치아의 신경 조직인 치수에는 신경뿐 아니라 치아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일을 하는 혈관도 있는데 신경치료 도중 이 치수가 제거되면서 치아 내부에 있던 혈관도 없어지게 된다. 치아에 수분과 영양분의 공급이 제한되면 치아가 푸석푸석해지며 조그만 힘에 의해서도 부서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씹을 때 힘이 많이 가해지는 어금니의 치료 후에는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하도록 남은 치아를 씌우는 형태의 적절한 수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복되지 않은 채 사용하다 부러지거나 갈라진다면 치아를 빼야만 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면 교합력이 적게 가해지는 앞니들은 치아의 상태에 따라 충전치료만 시행하고 씌우지 않고 지낼 수도 있다.

감각신경 제거로 충치 생겨도 통증 못 느껴 발치하기도
마지막으로, 신경 치료가 된 치아는 치아 자체의 감각을 느끼는 신경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냉온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충치가 진행돼도 통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치아는 단단한 치아 조직이 남아 있는 한 관리가 소홀하면 또다시 충치가 생길 수 있고 신경 치료 후 다시 충치가 진행된다면 통증이 없기 때문에 발견이 늦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발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될 수 있으므로, 치아를 씌우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