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혈관 문제 등 원인 다양…정확한 진단 필요

겨울철뿐 아니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에도 손발 시림을 호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단순히 체질 탓으로 생각하고 넘기기보다는 원인 질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손발 시림의 원인은 신경장애에서 기인할 수도 있고, 레이노병처럼 혈관장애 때문에 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신경과 이택준 교수의 도움말로 수족냉증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본다.

신경장애로 저림, 시림 등 증상 생길 수 있어

수족냉증의 원인으로는 우선 신경장애가 있다. 우리 몸의 신경계는 뇌, 척수라는 중추신경과 말초신경계로 구분된다. 말초신경은 중추신경으로부터 신호전달을 받아 온몸의 구석구석까지 신경전달을 하는 역할을 한다. 손과 발도 말초신경이 있어서 감각을 느끼고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말초신경계에서 문제가 생기는 원인은 당뇨, 만성콩팥질환, 갑상선 질환 등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다. 또한 손목 인대가 두꺼워져 그 아래에 있는 말초신경이 눌려서 손이 저리는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국소질환도 말초신경병을 유발한다.

말초신경병의 전형적인 특징은 ‘저림’ 증상이다. ‘저리다’, ‘아리다’, ‘따끔따끔하다’, ‘얼얼하다’, ‘화끈화끈하다’, ‘전기 오듯 찌릿찌릿하다’는 식의 신경병성 통증 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신경의 기능이 떨어져 ‘감각이 둔하다’는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손발이 차가운 느낌, 혹은 차가운 것에 유난히 민감한 ‘시림’ 증상도 있다.

특히 말초신경병은 실제 눈에 보이는 굵은 직경의 신경섬유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지만 굵은 신경에서 가지 쳐 나와 피부 내에 분포하는 작은 직경의 소신경섬유에 문제가 생기는 소섬유신경병에서도 잘 생긴다. 소섬유신경병에서는 시림 증상 등 손발의 이상 감각 외에도 자율신경의 기능이 떨어져 땀 분비 이상, 안구건조, 입마름, 기립성 어지럼증,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말초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증상은 서서히 시작되고, 주로 머리에서 먼 쪽부터 즉 발가락, 발바닥, 발등, 발목, 손가락의 순서로 증상이 발현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연구에 따르면 소섬유신경병은 30~50%에서는 별다른 원인 없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기 어려울 수 있지만 꾸준한 유산소운동, 반신욕 등이 도움이 되며, 증상이 심할 경우 신경병성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약물이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된다. 또한 소섬유신경병의 원인 중 당뇨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 경우 혈당에 대한 좀 더 엄격한 조절이 필요하다.

레이노병, 버거병, 동맥경화 등 혈관문제도 원인

손발 시림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혈관의 문제가 있다. 레이노병은 팔다리의 동맥에 간헐적 수축이 일어나서 혈액이 통하지 않아 손발 끝이 하얗게 창백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런 경우 실제 손발을 만지면 피부가 차다. 갑작스러운 추운 환경에 손발이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혈관확장제와 같은 약물요법을 하기도 한다.

그 외에 버거병은 레이노병과 마찬가지로 팔다리의 혈관의 문제로 피가 통하지 않아 팔다리에 색깔이 변하고 통증이 발생한다. 걷기 등 운동 시에는 다리에 혈액의 공급이 더 필요한데 혈관을 통한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으므로 운동시 통증 즉 파행 현상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팔다리의 조직에 혈액 공급이 안돼 괴사에 빠지는 경우도 있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 이택준 교수

버거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흡연이 중요한 발생과 악화 인자로 돼 있으므로 금연해야 한다. 또한 전문클리닉을 방문해 말초혈관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필요하며 약물요법 혹은 수술요법도 고려해야 한다. 레이노병, 버거병 이외에도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주요한 원인은 동맥경화이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을 가진 사람이 수족냉증이 있으면 말초혈관의 동맥경화성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택준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는 “손발 시림은 일상적으로 매우 성가시고 불편한 증상으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유산소운동이 권장되고 특히 당뇨환자의 경우 적절한 혈당관리와 금연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증상이 지속되고 심하면 신경과, 류마티스내과, 외과 등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