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미만 비당뇨병 환자에서는 사망 및 심뇌혈관질환 위험 차이 없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영성, 이하 NECA)은 2016년 「말기신부전 환자의 투석방법에 따른 성과연구」를 수행해, 당뇨병이 없는 65세 미만 환자에서는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간 사망 및 뇌혈관질환 위험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신장질환의 주요 원인인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면서 만성 신장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만성 신장병이 진행됨에 따라 신장이 기능을 할 수 없게 돼 신대체요법을 필요로 하는 말기신부전 환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신대체요법은 신장 기능을 대체하는 치료법으로 대표적으로 신장 이식, 혈액투석, 복막투석 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말기신부전 환자 증가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국내에서 신대체요법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는 2006년 46,730명에서 2016년 93,884명으로 10년 사이 약 2배 가량 급증했다.

투석치료를 받는 환자는 의학적 상태, 생활양식, 개인의 선호에 따라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대다수의 환자들이 혈액투석을 선택하고 있어, 복막투석과의 이용률 격차가 커지고 있다.

대한신장학회 등록자료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 수는 매년 5-8% 가량 증가해 왔으나, 복막투석 환자 수는 지난 10년 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한편 국내에서 급증하고 있는 혈액투석이 복막투석에 비해 임상적인 효과가 우월하다고 판단할 근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2014년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혈액투석의 생존율이 복막투석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해외에서는 복막투석의 초기 2~4년간의 치료성과 향상을 보고하고 있고, 2012년 코크란 연합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두 투석법 간 생존율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보고했다.

이러한 논란에 따라 국내 환자 자료를 활용해 투석방법에 따른 임상적 효과를 평가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및 환자 설문조사를 수행해,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임상적 효과 및 삶의 질을 비교하고, 투석법 이용 비율 변화에 따른 재정 영향을 분석했다.

투석 방법별 환자 수 및 진료비 현황
2003년부터 2015년까지의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결과, 혈액투석 환자 수는 2003년 연간 12,415명에서 2015년 47,223명으로 280.4% 증가한 반면, 복막투석 환자 수는 6,519명에서 8,962명으로 37.5% 증가했다.

연령표준화 환자 수는 혈액투석의 경우 2003년 10만명당 27명에서 2015년 202명으로 648% 증가했으나, 복막투석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10만명당 6~11명을 유지해, 거의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표준화란 연도별로 인구집단의 연령 구성의 차이가 환자 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보정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도별 투석법 이용 추이를 비교하기 위해, 90일간 동일한 투석 치료를 받은 환자 수를 2015년 주민등록 연앙인구 기준으로 연령표준화했다.

▲ 투석 방법에 따른 유병자의 연도별 연령표준화 환자 수 추이
총 진료비는 혈액투석의 경우 2003년 2,133억원에서 2015년 1조1,232억원으로 426.6% 증가한 반면, 복막투석은 같은 기간 동안 721억원에서 1,547억원으로 11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1인당 진료비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대체로 매년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액투석은 1,358~2,410만원, 복막투석은 1,105~1,726만원 범위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비용이 복막투석보다 매해 최소 206만원에서 최대 805만원 더 높았다.

투석 방법에 따른 사망 및 심뇌혈관 질환 위험과 삶의 질
2003년부터 2015년까지의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결과, 전체 환자대상 분석에서 복막투석군의 사망 위험이 혈액투석군에 비해 18%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망을 동반하지 않은 심뇌혈관 질환 위험은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 한편 당뇨병이 없는 65세 미만 환자에서는 투석법에 따른 사망 및 심뇌혈관 질환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투석치료를 받는 말기신부전 환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복막투석을 받는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설문조사 결과, 현재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의 절반 이상(52.3%)이 가정에서 스스로 투석을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투석법 이용 비율 변화에 따른 재정영향 분석 결과
2017년부터 당뇨병이 없는 65세 미만 환자에서 혈액투석 이용률의 6%가 복막투석으로 전환돼, 전체 환자에서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이용비율이 80:20으로 유지되는 경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향후 5년 간 건강보험 재정 약 520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시기 65세 미만 비당뇨병 혈액투석 환자의 50%가 투석법을 전환해, 전체 환자에서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이용비율이 67:33으로 유지되는 경우, 향후 5년 간 총 4,334억원의 재정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책임자 류동열 이화여대 신장내과 교수는 “임상현장에서 당뇨병이 없는 65세 미만 환자에게 두 투석법 간 임상적 효과의 차이가 없다면, 생활습관이나 선호도에 따라 복막투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조기에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연구가 투석방법을 선택할 때 의료인과 환자에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더 많은 환자들이 가정에서 스스로 복막투석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NECA는 국민건강임상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말기신부전 환자의 투석 방식에 따른 비용효과성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전향적 임상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2018년에 발표될 예정이다.

연구보고서 원문은 ‘NECA 웹사이트(www.neca.re.kr) > 연구원 지식정보 > 연구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