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도 744개 창업, 신규 고용창출 3,179명

 
보건복지부는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 조사’를 실시해 창업 및 고용 현황, 자금 조달 및 재무 현황 등의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 조사’는 2016년 기준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의 창업 7년 이내(2010년~2016년)의 생존하고 있는 4,144개 기업을 조사 모집단으로 해, 유효 표본 600개사를 3월부터 11월까지 이메일․팩스․전화조사 등을 병행해 조사했으며, 표본조사 결과를 활용해 모집단 값을 추정(신뢰도 95%, 표본오차 ± 3.42%)했다. 조사 기관은 코리아데이터네트워크다.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 창업은 2010년~2016년 동안 총 4,144개였다. ‘의료기기’ 분야가 2,429개로 과반 이상(58.6%)을 차지했고, ‘의약품’ 279개(6.7%), ‘기능성화장품’ 399개(9.6%), ‘건강기능식품’ 391개(9.4%), ‘연구개발업’ 555개(13.4%), 보건의료정보 64개(1.5%)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개인창업은 94.8%(법인창업 3.1%)를 차지했고, 전체 창업기업의 52.5%가 ‘벤처기업 인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창업기업 수는 매년 증가 추세로 2010년 406개에서 2016년 744개로 대폭 증가했다.

창업기업(2010년~2016년)의 2016년 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3만472명, 직무별 인력 비중은 경영․관리 3,693명(12.1%), 연구개발 9,082명(29.8%), 일반사무 4,473명(14.7%), 기능․생산 9,669명(31%) 등으로 나타났다.

2016년도에 창업한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은 3,179명으로 ‘의료기기’ 분야가 1,424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발업’ 525명, ‘기능성화장품’ 473명, ‘의약품(제약)’ 361명, ‘건강기능식품’ 344명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창업기업(2010~2016년)의 평균 종사자 수는 7.4명이고, ‘기능성화장품’(12.9명), ‘의약품’(9.3명)과 ‘보건의료정보’(9.1명), 건강기능식품(8.1명), 의료기기(6.4명), 연구개발업(5.9명) 등의 순서였다.

창업기업(2010년~2016년)의 평균 창업자금은 2억8000만원, 창업 이후 자금 조달액은 6억400만원, 평균 자금조달 횟수는 3.7회로 나타났다.

자금조달 방법은 창업 이전에는 ‘자기자금’(88.1%), ‘민간금융’(28.1%), ‘정부 정책자금’(27.4%) 순이었고, 창업 이후에는 ‘정부 정책자금’(72.5%)이 가장 높고 ‘민간금융’(35.4%), 자기자금(22.2%) 순서로 나타났다.

창업기업(2010년~2016년)의 2016년도 평균 매출액은 9억300만원이고, 창업 5년차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14억3100만원(1년차 기업 1억9400만원)으로 창업연차가 오래될수록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6년 12월 기준, 분야별 평균 매출액은 기능성화장품이 26억47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약품 15억2900만원, 건강기능식품 14억1000만원, 의료기기 6억3500만원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매출 비중은 국내가 90.7%, 해외는 9.3%이며, 해외매출 대부분(57.8%)이 의료기기업종에서 발생해 의료기기의 수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연구개발 지출(평균) 금액은 1억2900만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4.3%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71.0%의 창업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인력을 보유했다.

창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자금 확보’(82.9%)로 나타났으며, 생계유지 문제(21.7%), 창업 관련 지식․경험 부족(17.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창업 직전 ‘취업상태’가 91.7%, 창업까지 소요 기간은 ‘1년 미만’이 51.5%로 과반 이상이었고, 1~3년 미만이 34.5%로 나타났다.

창업 동기는 ‘자아실현’(44.0%), ’경제적 풍요(30.7%), ‘독립과 자유’(10.2%) 등이었고, 4개 중 1개 기업은 창업 ‘교육’ 및 ‘컨설팅’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기업(2010년~2016년)의 27.2%가 해외로 진출했고 분야별로는 ‘기능성화장품’ 분야 기업이 과반이상(57.6%)을 차지했다.

창업기업의 65.6%가 창업지원사업 수혜 경험이 있고, ‘정책자금’(69.3%), ‘연구개발(R&D) 지원’(45.7%), ‘사업화지원’(20.5%)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하지 않은 기업들은 그 이유로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도 부족’(32.6%), ‘절차 및 구비서류 복잡’(28.3%) 등을 내세웠다.

필요 지원사업으로는 ‘초기단계 금융지원’(40.2%), ‘창업 후 안정기까지 경제적․생계유지 지원’(31.2%)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국장은 “최근 7년간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 창업이 2배 가까이 늘어 ‘제2의 창업 붐’이 일어나고 있고, 2016년도에 창업한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도 3,179명에 달한다”고 밝히고, “창업 5년차 기업의 평균 매출액이 1차년도 대비 6배 이상 상승한 데에서 보듯이,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본격 성장기 진입시 매출 등 성과가 극대화된다”며 “연구개발(R&D) 결과물이 혁신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 그리고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보건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