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2.4배 많아, 나이가 많을수록 환자 수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자료를 활용해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가 이석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이석증 진료 환자는 37만명으로 전 국민의 0.7%
여성 환자가 남성의 2.4배, 나이가 많을수록 환자 증가

이석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2014년 30만명에서 2018년 37만명으로 5년 동안 연평균 4.8% 증가했다.

2018년 진료인원 중 여성은 26만명으로 남성의 2.4배 이상이었다.

 

연령대별 10만명당 진료인원으로 보면 전 국민의 0.7%가 진료받았고 70대 환자가 1.9%로 인구 대비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여성의 1.8%가 이석증으로 진료받아
20~40대가 증가율 높아

50세 이상 여성의 1.8%, 40대 여성의 1.0%가 이석증으로 진료받아 중장년 여성 환자가 특히 많았다.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20~40대에서 4~5%대로 높게 나타났다.

 

이석증 환자 1인당 평균 내원횟수(일수)는 2.3회
2018년 환자 4명 중 3명은 2일 이내 진료받아

이석증 환자 1인당 평균 내원횟수는 2.3회이고 환자 중 75%는 2번 방문 이내로 치료를 마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준희 교수는 이석증의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과 예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석증의 정식 명칭은 ‘양성 돌발성 두위 현훈’으로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짧고 반복적인 빙빙도는 회전성 어지럼을 보인다.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 옆으로 누울 때, 위를 쳐다보거나 고개를 숙일 때 짧은 회전성 어지럼을 보인다. 이석증의 원인은 내이의 난형낭에 있는 이석이 탈락돼 반고리관으로 이동하여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서 내림프의 흐름을 유발해 특징적인 안진(눈 흔들림)과 어지럼이 생긴다. 이러한 이석증의 절반 정도는 특별한 원인이 없는 특발성이다. 특발성 이외의 원인으로는 두부외상(교통사고, 낙상 등에서의 머리의 물리적 충격)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돌발성 난청, 전정신경염 등의 내이 질환에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이 이석증 환자들에서 이석증이 없는 사람들보다 유의하게 많다는 보고가 있어서 비타민D 부족이나 결핍이 이석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석증은 머리를 돌리면서 시행하는 두위 변환 안진검사에서 특정 방향으로 머리를 돌릴 때 특이 안진을 확인하면 진단할 수 있다. 두위 변환 안진검사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안진검사 안경을 이용하거나 전기안진 또는 비디오안진 검사기기를 이용해 시행할 수 있다.

특정 반고리관의 특정 유형의 이석증이 확인되면 머리를 돌려가면서 중력 방향으로 이석이 이동해 다시 제자리에 위치하게 하는 이석치환술을 시행한다. 호소하는 증상에서 이석증이 의심되나 두위 변환 안진검사에서 안진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머리 위치 및 자세 변화를 피하면서 어지럼, 메스꺼움, 구토가 심하면 항히스타민제 등 전정억제제, 진토제 등 약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석증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두부외상 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머리의 물리적 충격을 피하는 것이 예방이 될 수 있다.

특발성 이석증의 경우 고령과 여성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아직 명확한 이유는 규명되지 않았으며, 최근의 이석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많다는 연구 결과를 볼 때 고령과 여성에서 폐경기 후 호르몬 변화와 골밀도 감소로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작권자 © 닥터더블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